2018.09.04 18:06
@초록머리님이 위키 내용을 고쳤습니다.

예시)
@초록머리님이 추가한 내용
@초록머리님이 삭제한 내용
<p>남자다움이 만드는 이상한 거리감 - 벨 훅스 / 이순영 옮김, 김고연주 해제</p> <p>페미니스트가 말하는 남성, 남성성, 그리고 사랑</p> <p>남성들이 변하지 않으려 한다는 것은 진실이 아니다. 진실을 말하자면 대부분의 남성들은 변하기를 두려워한다. 또한 대부분의 남성들은 어떤 식으로 가부장제가 그들 자신을 제대로 알지 못하게 하고, 자기 느낌을 그대로 느끼지 못하고 또 사랑하게 했는지를 알아볼 생각도 하지 않고 있다. 사랑을 알기 위해서 남성들은 지배 의지를 놓아버릴 수 있어야 한다. 죽음이 아닌 삶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기꺼이 변화해야 한다.  - 19p</p> <p>가부장제는 남성들에게 감정불구자가 되어 그 상태에 머물라고 요구한다. 가부장제가 남성들이 온전히 자기 의지대로 행동할 자유를 부정하기 때문에 계층을 막론하고 누구든 가부장제에 저항하거나 아버지나 어머니 어느 쪽이라도 가부장적 부모에게 반항하기는 힘들다. - 65p</p> <p>가부장 문화에서 여성들은 자신들이 힘을 휘두를 수 있고 자유롭게 지배할 수 있는 집단에 대해 남성들만큼이나 폭력적이다. 대개 그 집단을 아이들이거나 힘이 더 약한 여성들이다. 남성 ㅍ폭력이 그렇듯 아이들에게 가해지는 여성 폭력은 감정 학대, 특히 막말과 창피 주기의 형태를 띠게 되며, 따라서 입증하기가 어렵다. 하지만 우리가 성인 남성이 여성에게 가하는 폭력의 뿌리를 연구하려 한다면 어머니의 사디즘을 연구해야 한다. 여성을 더 윤리적이고 친절하며 너그러운 성이라고 생각해온 개혁적 페미니스트 사상가들은 어머니의 사디즘, 그리고 가부장 사회에서 여성들이 남자아이들에게 폭력적인 행동을 하는 방식에 관해 깊이 잇는 연구를 하는 데 얼마간은 방해가 되었다.  - 121p</p> <p>그 자신이 가부장제를 옹호하는 어머니는 아들을 올바르게 사랑할 수 없다. 가무장제가 그들에게 아들을 희생시키라고 요구시키는 순간이 언제든 오기 때문이다. 대개 그 순간은 아이의 사춘기에 오는데, 이 시기가 되면 다정다감하고 애정 어린 엄마들이 혹여 아들을 약하게 만들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에 더는 아이의 감정을 돌보거나 배려하지 않는다. 감정적으로 단절되는 상실을 극복하지 못한 채 남자아이들은 그 고통을 안으로 숨기고 무관심이나 분노로 가장한다. - 123p</p> <p class="p1">페미니스트<span> </span>남성성은<span> </span>남성들이<span> </span>가치를<span> </span>가지려<span> </span>하는<span> </span>것만으로<span> </span>충분하며<span>, </span>확인받고<span> </span>사랑받기<span> </span>위해<span> '</span>뭔가를<span> </span>하고<span>', '</span>성과를<span> </span>내야<span>' </span>할<span> </span>필요가<span> </span>없다고<span> </span>전제한다<span>. </span>페미니스트<span> </span>남성성은<span> </span>힘을<span> '</span>누군가를<span> </span>이기는<span> </span>권력<span>'</span>으로<span> </span>규정하기보다<span> </span>자신과<span> </span>다른<span> </span>사람에게<span> </span>책임을<span> </span>지는<span> </span>한<span> </span>사람의<span> </span>능력으로<span> </span>규정한다<span>. </span>이<span> </span>힘은<span> </span>남성과<span> </span>여성이<span> </span>갖춰야<span> </span>하는<span> </span>특징이다<span>. 204p</span></p> <p class="p1">우리<span> </span>사회의<span> </span>많은<span> </span>남성들이<span> </span>어떤<span> </span>지위도<span>, </span>특권도<span> </span>갖고<span> </span>있지<span> </span>않다<span>. </span>그들은<span> </span>자본주의<span> </span>가부장제에서<span> </span>어떤<span> </span>보상도<span> </span>거저<span> </span>받지<span> </span>못하며<span> </span>어떤<span> </span>특전도<span> </span>받지<span> </span>못한다<span>. </span>이런<span> </span>남성들에게<span> </span>여성과<span> </span>아이에<span> </span>대한<span> </span>지배는<span> </span>가부장적<span> </span>존재를<span> </span>주장할<span> </span>수<span> </span>있는<span> </span>유일한<span> </span>기회일<span> </span>것이다<span>. </span>이런<span> </span>남성들은<span> </span>괴로워한다<span>. </span>그들의<span> </span>고통과<span> </span>절망에는<span> </span>한계나<span> </span>경계가<span> </span>없다<span>. 238p</span></p> <p class="p1">남성들이<span> </span>다른<span> </span>사람에게<span> </span>행하는<span> </span>폭력은<span> </span>대게<span> </span>자신에게<span>, </span>그리고<span> </span>자신<span> </span>안에서<span> </span>벌어진<span> </span>폭력을<span> </span>반영하는<span> </span>것이다<span>.</span>많은<span> </span>급진적<span> </span>페미니스트들은<span> </span>남성중심주의에<span> </span>굉장히<span> </span>격분했기<span> </span>때문에<span> </span>남성들이<span> </span>고통을<span> </span>겪을<span> </span>수도<span> </span>있음을<span> </span>인정하거나<span> </span>용서하지<span> </span>못한다<span>. </span>우리<span> </span>여성들이<span> </span>남성들이<span> </span>겪는<span> </span>희생을<span> </span>제대로<span> </span>살피지<span> </span>못한다면<span>, </span>남성다움을<span> </span>이해하지<span> </span>못하며<span> </span>더<span> </span>많은<span> </span>남성들이<span> </span>페미니즘에<span> </span>따라<span> </span>변화하기<span> </span>위해<span> </span>노력하도록<span> </span>그들과<span> </span>연결될<span> </span>여지를<span> </span>찾기<span> </span>어려워진다<span>. - 240p</span></p>
<p>남자다움이 만드는 이상한 거리감 - 벨 훅스 / 이순영 옮김, 김고연주 해제</p> <p>페미니스트가 말하는 남성, 남성성, 그리고 사랑</p> <p>남성들이 변하지 않으려 한다는 것은 진실이 아니다. 진실을 말하자면 대부분의 남성들은 변하기를 두려워한다. 또한 대부분의 남성들은 어떤 식으로 가부장제가 그들 자신을 제대로 알지 못하게 하고, 자기 느낌을 그대로 느끼지 못하고 또 사랑하게 했는지를 알아볼 생각도 하지 않고 있다. 사랑을 알기 위해서 남성들은 지배 의지를 놓아버릴 수 있어야 한다. 죽음이 아닌 삶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기꺼이 변화해야 한다.  - 19p</p> <p>가부장제는 남성들에게 감정불구자가 되어 그 상태에 머물라고 요구한다. 가부장제가 남성들이 온전히 자기 의지대로 행동할 자유를 부정하기 때문에 계층을 막론하고 누구든 가부장제에 저항하거나 아버지나 어머니 어느 쪽이라도 가부장적 부모에게 반항하기는 힘들다. - 65p</p> <p>가부장 문화에서 여성들은 자신들이 힘을 휘두를 수 있고 자유롭게 지배할 수 있는 집단에 대해 남성들만큼이나 폭력적이다. 대개 그 집단을 아이들이거나 힘이 더 약한 여성들이다. 남성 ㅍ폭력이 그렇듯 아이들에게 가해지는 여성 폭력은 감정 학대, 특히 막말과 창피 주기의 형태를 띠게 되며, 따라서 입증하기가 어렵다. 하지만 우리가 성인 남성이 여성에게 가하는 폭력의 뿌리를 연구하려 한다면 어머니의 사디즘을 연구해야 한다. 여성을 더 윤리적이고 친절하며 너그러운 성이라고 생각해온 개혁적 페미니스트 사상가들은 어머니의 사디즘, 그리고 가부장 사회에서 여성들이 남자아이들에게 폭력적인 행동을 하는 방식에 관해 깊이 잇는 연구를 하는 데 얼마간은 방해가 되었다.  - 121p</p> <p>그 자신이 가부장제를 옹호하는 어머니는 아들을 올바르게 사랑할 수 없다. 가무장제가 그들에게 아들을 희생시키라고 요구시키는 순간이 언제든 오기 때문이다. 대개 그 순간은 아이의 사춘기에 오는데, 이 시기가 되면 다정다감하고 애정 어린 엄마들이 혹여 아들을 약하게 만들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에 더는 아이의 감정을 돌보거나 배려하지 않는다. 감정적으로 단절되는 상실을 극복하지 못한 채 남자아이들은 그 고통을 안으로 숨기고 무관심이나 분노로 가장한다. - 123p</p>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