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김훈 '공터에서' 책을 사놓고 아직 읽지 못한 가운데, 인터뷰 기사를 보았답니다.
생명력 가득한 젊은이들의 정치가 희망이라고 말씀하시는 것이 보여서 띄워봅니다.
적극적인 정치 참여 계획이 있는지 의사를 여쭈는 대목도 있답니다. 소설가분들도 빠띠를 만나면 좋아하실텐데 하는 생각이 듭니다.
- 아래는 인터뷰 기사 중 일부입니다.-
"나는 지금 젊은이들은 너무 양순하다고 생각해요. 너무 짓밟아놔서 그런지 모여서 정치적인 목소리를 내면서 개혁을 요구해야겠다는 생각을 안 하는 것 같아요. 70~80년대 젊은이들은 격렬하게 저항했습니다. 사회에 대해서. 그 시대를 그리워하는 건 아니지만 그런 젊은 에너지의 폭발은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이건 젊은이들을 선동하는 게 아니에요. 기성 기득권 세력을 개혁하려면 그것밖에는 길이 없습니다. 젊은이들이 더욱 정치적으로 변해야 해요."
<중략>
소설가 김훈이 생각하는 희망의 근거는?
"연애하는 젊은이들이 길에서 끌어 안고 가잖아요. 그런 걸 보면 우리나라의 희망이 있다는 생각을 합니다. 저들이 우리의 희망이지 정치 슬로건 이런 게 희망이 아니라고 생각해요. 그리고 학생들을 보면 또 희망을 느끼죠. 생명력이 있으니까. 그런 것들이 가장 중요한 희망이고 미래라는 생각을 합니다. 인간의 생명, 그것만이 희망입니다."
소설가 김훈,"거칠게 저항하고 덤벼들지 않으면 개혁은 이뤄지지 않는다." | 작가와의 만남 | 인터뷰 - 인터넷 교보문고
[소설] 공터에서김훈 | 해냄출판사2017.02.03
NEWS.KYOBOBOOK.CO.KR
원글보기
여성들의 이야기라면 그저 시기심에만 머무르는 이들의 틀에서 벗어나, '인간다운' 생각과 이야기를 펼치는 사람들의 소식을 더욱 "빠띠" 해야겠어요ㅎ 고마워요 베리~! (그리고, 역시 안 좋은 습관은 좋은 습관으로 도배하면서 살아야겠어요.ㅎㅎ 나쁜습관에게 인생의 빈틈을 허락하지 않겠어요!)